사이트 내 전체검색
PHP
php.ini 설정
로빈아빠
https://cmd.kr/php/227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PHP의 시작 태그로 짧은 형태(<? ?>)를 사용하게 할 지를 결정합니다.
PHP를 XML과 결함해서 사용할 때는, 라인에서 <?xml ?>를 사용하기 위해서 이 옵션을 끌 수 있습니다.
또는, PHP를 이용해서 출력해야 합니다. 예: <?php echo '<?xml version="1.0"'; ?>.
옵션을 끌 경우, 긴 형태의 PHP 시작 태그(<?php ?>)를 사용해야만 합니다.

참고: 이 지시자는 <? echo의 짧은 형태인 <?=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이 짧은 형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hort_open_tag를 on으로 해야 합니다.


◆ short_open_tag = on



보통의 <?php ?> 태그에 추가로, ASP형태의 <% %>의 사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변수값 출력의 짧은 형태인 <%= $value %>도 사용 가능해집니다.
추가 정보는 HTML에서 빠져나가기를 참고하십시오.

◆ asp_tags =off



부동소수에 표시되는 유효 숫자의 수입니다.


◆ precision = 12


2000년 호환을 강제합니다. (비호환 브라우저와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y2k_compliance = on


함수를 호출할 때, 인자를 참조로 넘기는 것의 강제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 방법은 부정되었으며, PHP/Zend의 차후 버전에서는 지원하지 않을 것입니다
. 권장하는 방법은 함수 정의시에 어떤 인자가 참조로 넘어갈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차후 버전에서의 작동성을 보장받기 위해서 이 옵션을 끈 상태에서 스크립트가 제대로
작동하게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 기능을 사용할때마다 경고를 받게 되고,
인자는 참조 대신 값으로 넘어가게 될 것입니다)


◆ allow_call_time_pass_reference =on

서버에 PHP가 설치 여부를 표출하게 하는 것을 결정합니다.
(즉, 웹 서버 헤더에 사인을 추가합니다). 보안 관련에 영향은 없으나,
그 서버에서 PHP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 expose_php = on

스크립트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메모리 양을 바이트로 설정합니다.
엉망인 스크립트가 서버의 많은 메모리를 차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 지시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컴파일시에 활성화하여야 합니다.
즉, 설정 라인에 다음을 포함되야 합니다: --enable-memory-limit.
메모리 제한을 하지 않으려면 -1로 설정하십시오.

◆ memory_limit =8

활성화하면, 환경 변수, GET, POST, 쿠키, 서버 변수에 대한 전역 연관
배열 $_ENV, $_GET, $_POST, $_COOKIE, $_SERVER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HP 4.3.0부터 track_vars는 항상 on입니다.

◆ track_vars =on


POST 데이터가 허용하는 최대 사이즈를 설정합니다. 이 설정은 파일
업로드에도 관여합니다. 큰 파일을 업로드 하기 위해서는 이 값이
upload_max_filesize보다 커야만 합니다.

환경 설정 스크립트에서 메모리 제한을 활성화하였으면, memory_limit도
파일 업로드에 관여합니다. 일반적으로, memory_limit는  post_max_size보다 커야만 합니다.



◆ post_max_size =1024


require(), include(), fopen_with_path() 함수가 파일을 찾는 디렉토리
목록을 지정합니다. 형식은 시스템의 PATH 환경 변수와 같습니다:
디렉토리 목록은 유닉스에서는 콜론으로, 윈도우에서는 세미콜론으로 구분합니다

◆ include_path =

-----------------------------------
유닉스 include_path

include_path=".:/php/includes"
 
윈도우 include_path

include_path=".;c:\php\includes"

-----------------------------------

서버에서 PHP의 "루트 디렉토리"입니다. 비어있지 않은 경우에만 사용합니다.
PHP를 안전 모드로 설정하면, 이 디렉토리 밖에 있는 파일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IIS를 제외한 모든 웹 서버에서, PHP를 CGI로 사용하면서 FORCE_REDIRECT를
설정하지 않고 컴파일 했다면, doc_root를 꼭 설정해야 합니다.
아래의 cgi.force_redirect 설정을 대신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doc_root =

PHP 파일을 사용하는 유저의 홈 디렉토리의 기본 이름입니다. 예를 들면, public_html이 있습니다

◆ user_dir =

동적 로드 확장를 찾을 디렉토리를 설정합니다. 참고: enable_dl, dl().
◆ extension_dir ="./"

HTTP 파일 업로드 허용 여부를 결정합니다. upload_max_filesize,
upload_tmp_dir, post_max_size 지시자를 참고하십시오.


◆ file_uploads =on

파일 업로드 중의 저장을 위한 임시 디렉토리 설정입니다. PHP가
실행되는 유저가 쓰기 권한을 가져야 합니다. 지정하지 않으면 시스템 기본값을 사용합니다
◆ upload_tmp_dir =

업로드 파일의 최대 크기를 지정합니다
◆ upload_max_filesize = 1000m

출처 : http://qdata.co.kr/bo/bbs/board.php?bo_table=pht&wr_id=6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PHP
871 (3/18P)

Search

Copyright © Cmd 명령어 3.145.73.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