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ajax] 인터넷 & 유닉스의 이해
로빈아빠
https://cmd.kr/server/109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인터넷(Internet)이란 전세계적인 통신망이란 사실은 이미 알고있을것이다.

우리나라에만 하이텔,천리안,나우컴..... 무수한 통신망이 존재한다.
인터넷이란 이런 각종 통신망이 하나로 연결된 망중의 망이다.

이렇게 인터넷으로 묶인 컴퓨터들은 대부분 UNIX라는 운영체제를 쓴다.
인터넷 접속시 천리안,하이텔등에 접속하면 나오는 메뉴와는 차이가 나는데
상대방 컴퓨터에 연결되면 마치 자신의 컴퓨터를 부팅시킨 후와 마찬가지로
c:\\> 와같은 prompt가 떨어 진다.
키보드는 우리 집에 있지만 컴퓨터는 외국에 있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보이게 된다.
원래 유닉스(UNIX)라는  운영체제는 시스템 공유를 위한  멀티 운영 체제이다.
초기의 DOS는  이 UNIX를 본따서  만든 것이지만 그것은 오직 한 명의 컴퓨터 유저만을
위한 운영체제이다.
컴퓨터를 켜고 자기 혼자서 게임을 하고 문서를 작성하는 식이다.하지만
이 UNIX는 여러 개의 단말기와 연결되어 수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컴퓨터
를 쓸 수 있도록 개발된 운영체제이다.
예를 들어  도스에서의 파일 리스트 출력 명령인 dir은 ls명령으로 하고
파일 삭제 명령인 del은 rm으로 한다.물론 도스와 유닉스가 사용법이
엇비슷하다고는 하지만 실제적으로 다가서면 좀더 많은 차이를 느끼게
된다.유닉스는 도스처럼 단순유저용이 운영체제가 아니라서 대단히 복잡
한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우선 유닉스가 멀티운영을 하고 있고 또한
정보 공유를 위해서 만들어진 운영체제인 만큼 컴퓨터끼리의 통신과 보안
등이 문제된다.
유닉스 시스템에 접속을 하면, login을 물어본다.상대방의 계정(통신망의
ID와 비슷한 개념)을 물어온다.그리고 암호를 확인 한 후에 도스에서와
같이

 /home1/id>    (도스에서 c:\\> 와 비슷..)

이런 프롬프트가 출력된다.그러면 우리는 이곳에서 도스와 마찬가지로
파일을 삭제하고 카피하고 전송하고 만드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여러사람이 시스템을 공유하다보니 내가 만든 것을 남
에게 보여주어서는 안되는 것이 있다.기밀문서나 힘들여 만든 프로그램,
공개해서는 안되는 것들등이다.이런 것들을 공개된 파일과 구별하기 위해서
유닉스에서는 파일의 삭제(수정), 복사, 실행 하는 권한을 명확히
구분해 놓고 있다.파일마다 자신의 주인이름(그 파일을 컴퓨터에 카피해
놓았거나 생성시킨 사람)의 기록되어 있어 그 주인은 그 파일의 삭제,
복사(열람), 실행에 관하여 각각 다르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공개하거나 감추거나 하는 것은 모두 그 파일의 생성자가 조정할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139 (10/23P)

Search

Copyright © Cmd 명령어 18.117.158.219